03. 학업계획서 작성하기_학업 목표 및 연구 계획
왠지 블로그에서 글을 시작하면 잘 써진다.
나는 무슨 연구를 하고 싶은가?
나는 원격교육(E-LEARNING)에 관한 어떤?(교육컨텐츠, 교수설계)-원격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는 교수설계법을 연구하고 싶다
위 말이 설득력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
실무에서 K-MOOC나 원격교육 컨퍼런스를 들을 수록 앞으로 원격교육이 더욱 중요해지며 확장되는 방향으로 갈거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현재 K-MOOC는 학점 교류에만 머물러 있으며
향후 기업과의 연계, 학위 발급까지의 컨텐츠 질 향상, 학습자의 몰입도 향상, 평생교육 차원으로 확장, 국가간의 연계 부분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여 보인다.
이전에 교육들은걸 다 정리해서 그와 유사한 방향으로 가는게 좋아보임
1. 원격교육 컨퍼런스
미래대학: 태재대학: 미래 원격교육으로만 운영되는 대학교
컨텐츠 질 향상
2. K-MOOC 컨퍼런스
#K-MOOC와 기업연계 #컨텐츠 질 향상 #자격증,학위 줘야함 #E-포트폴리오
3. 미래교육 컨퍼런스
#개인맞춤 학습과정-> 컨텐츠 활용능력과 학습상태 점검방법(평가)가 중요하다
-> 나는 교수자 평가와 학습자 분석으로 방향설정, 다수의 학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되 각자에 맞는 평가 방식을 취해야하는데 그걸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연구하고 싶음
#평생교육, 학습자 분석, 학습스타일, 선호하는 평가 방식 분석해서 이에 맞는 교육과정 만듬
E-포트폴리오 : 마이크로 학위는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될 것이다. 왜냐면 모든 교육을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임
미래는 학습자 중심이여서 본인이 학습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거다
#학점교류를 넘어서 다른 나라와의 연합 중요
#개도국 사람들을 무크를 활용해서 돕는 방식
-> 모든 사람이 같은 질의 교육을 받는 세상이 평등한 세상이라고 생각함
그래서 향후 이러닝 분야에 전문성을 키우고 개발도상국에 원격교육이 자리잡는데 기여하고 싶음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 기본적인 지식에 관한 교육과정, 전문기술을 익히기 위한 교육과정을 만들어서
공통키워드
#컨텐츠 질 향상 #실습이나 토론하는 부분 개선 방안
#다른나라와 연합(ASEM MOOC) #국제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