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Life/교육대학원_교육공학 합격수기

03. 학업계획서_학업목표 및 연구계획

꾸덕 2022. 9. 28. 17:29
728x90

나는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걸까..?

이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걸까?

 

전공과 관련된 일을 하면서 2달동안 3개의 원격교육과 K-MOOC 에 대한 컨퍼런스를 들었다. 

K-MOOC와 원격교육은 앞으로 대학에서 주요 중심이 될것이고

현재는 국가적으로 이 분야에 대한 퀄리티를 향상하고 대중들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추세다. 

전세계적으로 미래대학은 미네르바 같은 원격대학이 추세라고 말하고 있다. 

모든 이들이 비대면으로 수업을 듣고 정해진 공간과 시간에서 벗어나서 독립적으로 교육을 듣는것 

이로 인해 평생교육이 이뤄지는 것. 

 

공통 키워드: 학습자중심교육, E-포트폴리오, 학위 시스템, 취업*기업연계, 컨텐츠 질 향상, 평생교육, 

 

1. AI, 빅데이터분석, 추천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습자를 분석하고 이들의 학습 패턴에 맞는 교육을 추천한다.

2.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평생동안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E-포트폴리오

3. 현재 원격교육은 강의식이며 대면만큼 활발한 소통을 할 수 없다 또한, 자신이 스스로 수업을 들어야 하는데

아무런 대가 없이 학습동기를 유지하기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 수업을 들으면 학점을 주거나, 학위를 주는 시스템이 필요

4. 원격교육이 더욱 가치있어지고 성공적으로 교육효과를 내기 위해선 기업과 연계해야한다. 

이 수업을 들으면 신용도 높은 자격증이 나오고 기업은 그걸보고 믿을만한 사람이라고 판단하는 구조 

5. 공무원, 직장인 교육에 활용하되 그들에게 맞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6. 한국과 비슷하게 mooc를 운영하는 asem mooc 나라들과 연합해야한다. -> 연합을 통해 학습자들이 외국컨텐츠까지 들을 수 있도록하고 들으면 학점인정해주는 구조가 되면 더욱 확장 될 수 있다.

7. K-MOOC 를 활용해서 50대 이후에도 배울 수 있도록 평생교육 시스템을 만들계획이다.

8. K-MOOC로 개발도상국 사람들의 교육 환경 향상을 도울 수 있다. -> 그러려면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계획하는 역할 중요 

 

오래 일한건 아니지만 K-MOOC 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실무자로서 느끼는 것은

원격교육에 대한 니즈와 필요도는 높아지는데 아직 대면을 완벽히 대체할 만큼 교육효과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아직은 강의식 수업이 대부분이고 상호작용은 게시판과 토론으로 대체하기에 협동학습과 실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하고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해서 교육몰입도를 높여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나는 대학원에서 학습 효과를 향상하는 원격교육 교수설계법 공부, 원격교육 컨텐츠 질을 향상하는 컨텐츠제작에 관한 연구를 하고 싶다. 

석사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실무에서 적용하면서 향후에는 사람들이 어디서나 자신에게 맞는 교육과정으로 질 좋은 컨텐츠로 공부하면서 각자의 잠재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돕고싶다. 

 

또한, 내가 일하는 원격교육지원센터에서는 학기에 2번 원격교육질 점검을 하는데 점검기준을 센터에서 정하고 있다. 

이때, 교육공학 전문가가 없으니 점검기준이 모호하며 양적 기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컨텐츠를 평가할때 양적인 기준뿐만아니라 다른 기준들도 중요할텐데 어떤 것이 중요한지 몰라서 시각적인 기준에만 의존하는듯 하다. 

석사과정을 통해 교육컨텐츠와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전문적인 시각을 갖고 싶다. 

양과 질 모두 고려하여 교육컨텐츠를 점검하고 더욱 질을 향상하고자 한다. 

 

728x90